“당신이 가는 곳엔 늘 나도 함께 하는 거야.” 1943년 개봉한 영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합니다. 스페인 내전의 참혹함 속에서 피어난 인간의 사랑과 용기, 희생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영화인데요. 첫문장으로 나온, 게리 쿠퍼의 잉그리드 버그만을 향한 이 마지막 대사는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당시에 전쟁의 비극을 선명하게 보여주며 세상에 큰 경종을 울렸습니다.
약 80년이 흐른 오늘날 세계는 다시 전쟁으로 큰 고통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시작된 후 천문학적 경제 피해 이외에도 민간인 사망자만 1만 2천 명, 부상자는 3만 2천 명에 달한다고 하니 그 참상에 눈앞이 아득해집니다. 그리고 2025년 6월,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무력 충돌이 본격화되면서 중동 전쟁으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근심이 깊어갑니다. 국가 간, 사회 간, 그리고 개인 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해법은 무엇일까요? 2차 세계 대전 중 이 영화처럼, 우리 마음에 경종을 울리는 인문학의 역할이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
어떤 사람도 혼자서는 온전한 섬이 아니다. 모든 인간은 대륙의 한 조각, 대양의 일부이니, 흙 한 덩이가 바닷물에 씻겨 내려가면 유럽 땅은 그만큼 작아지고. 한 곶(串)이 씻겨 나가도 마찬가지고. 그대의 친구나 그대의 영토가 씻겨 나가도 마찬가지다. 어떤 사람의 죽음도 그만큼 나를 줄어들게 한다. 나는 인류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누구를 위하여 조종(弔鐘)이 울리는지 알려고 사람을 보내지 말라. 그것은 그대를 위하여 울리는 것이니. - 존 던(1572~1631)의 기도문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 책 읽는 저녁 『짐승과 인간 - 인간 본성의 근원에 대하여』 메리 미즐리 |
7월의 ‘책 읽는 저녁’에서는 메리 미즐리의 『짐승과 인간』 후반부를 함께 읽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인간과 동물의 본성을 비교하며, 인간이 단순한 생존 기계가 아닌 복잡한 욕망을 지닌 존재이며, 그 욕망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조율되고 확장된다는 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러한 욕망들이 어떻게 충돌하고, 우리는 어떤 가치와 기준으로 그것을 조정해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인간의 존엄이나 주체성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함께 찾아보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일시: 2025.7.16(수) 19:00~21:00 ■ 도서: 『짐승과 인간(4~5부)』 메리 미즐리 (권루시안 옮김, 위고, 2025) ■ 진행: 전병근 지식 큐레이터 ■ 장소: 온라인 ZOOM ■ 신청 마감: 7월 4일. 선착순 15명 * 참가자는 7월 13일까지 독후감(600자 이상)을 작성해 제출해야 합니다. ■ 문의 및 독후감 제출: jigwan@jigwanseoga.org |
『정원의 위로』는 동아일보 기자이자 산림교육전문가인 김선미 기자가 식물과 정원에서 받은 깊은 위로의 경험을 담아낸 책입니다. 이번 북토크에서는 그녀가 오랜 시간 발로 찾아다닌 24곳의 정원 이야기를 들려주며, 정원이 단순한 쉼터를 넘어 문학과 예술, 자연과 과학이 만나는 통합의 공간임을 전합니다. 강연을 들으며 여러분만의 시크릿가든을 찾아보세요~ ■ 일시: 2025.7.30(수) 16:00~18:00 ■ 연사: 김선미 동아일보 기자 ■ 장소: 수원 지관서가 ■ 인원: 30명 현장 참여(무료) / 온라인 스트리밍(YouTube 지관서가 채널) |
7월의 ‘낭독의 정원’에서는 박완서 작가의 산문집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를 함께 읽습니다. 참여자분들이 가장 낭독하고 싶은 작가로 박완서를 꼽아주셨는데요, 이번에 읽을 책은 그녀의 산문 660여 편 중에서 35편을 엄선한, ‘박완서 에세이의 정수’라 할 만한 작품집입니다. 소설가로 널리 알려진 박완서 작가, 이번 에세이를 통해 그녀의 삶과 내면을 함께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 일시: 2025.7.18(금) 10:00~12:00 ■ 함께 읽을 책: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박완서(세계사, 2020) ■ 진행: 황윤정 대표(책 읽는 도토리) ■ 장소: 온라인 ZOOM ■ 인원: 선착순 20명(무료) |
🏫 지관서가 지역탐구 특강 《지관서가, 지역을 읽다》 |
'지관서가, 지역을 읽다'는 지관서가가 위치한 지역의 문화와 공간환경을 함께 들여다보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입니다. 6월 30일에는 네 번째 이야기로 <평택 편- 다양성의 힘>, 7월 21일에는 <울산 편- 산업도시를 넘어 인본주의> 강연이 열립니다. 공간 기획자 박성진 대표와 함께 각 지역이 품은 공간의 얼굴과 이야기들을 만나보세요. ■ 일시: 2025.6.30(월), 7.21(월) 14:00~16:00 ■ 연사: 박성진 대표(사이트앤페이지) ■ 장소: 도시상담 책방(서울 마포구 성미산로 87 101호) ■ 인원: 15명 현장 참여(무료) / 온라인 스트리밍(YouTube 지관서가 채널) |
⏳ 지관서가 인문활동 《희망 TIME BOX》 작은 점검 – 다시 달릴 수 있는 시간 |
2025년의 절반이 지나갑니다. 새해 초 어떤 다짐을 하셨나요? 지관서가는 올해 초 ‘희망 TIME BOX’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현장 202명, 온라인 69명으로 총 270명이 참여했는데요, 여기에 1인 평균 5개의 다짐이 모여 1300개 이상의 결심이 담겼습니다. 가장 많았던 목표로는 운동, 다이어트 같은 건강 관리였고, 그다음으로 독서, 외국어 공부, 자격증 등 자기 계발이었습니다. 그 다짐들, 지금 어디쯤 와 있나요? 하반기를 앞둔 지금, 잠시 멈춰 지난 6개월의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요?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요. 지관서가가 여러분의 ‘다시 달리기’를 응원합니다. 아자아자! |
인문 큐레이션 레터 《위클리 지관》 어떠셨나요? 당신의 소중한 의견은 저희를 춤추게 합니다🤸♂️ |
재단법인 止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7길 32 SK관훈빌딩 11층 수신거부
|
|
|
“당신이 가는 곳엔 늘 나도 함께 하는 거야.”
1943년 개봉한 영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합니다. 스페인 내전의 참혹함 속에서 피어난 인간의 사랑과 용기, 희생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영화인데요. 첫문장으로 나온, 게리 쿠퍼의 잉그리드 버그만을 향한 이 마지막 대사는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당시에 전쟁의 비극을 선명하게 보여주며 세상에 큰 경종을 울렸습니다.
약 80년이 흐른 오늘날 세계는 다시 전쟁으로 큰 고통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시작된 후 천문학적 경제 피해 이외에도 민간인 사망자만 1만 2천 명, 부상자는 3만 2천 명에 달한다고 하니 그 참상에 눈앞이 아득해집니다. 그리고 2025년 6월,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무력 충돌이 본격화되면서 중동 전쟁으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근심이 깊어갑니다. 국가 간, 사회 간, 그리고 개인 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해법은 무엇일까요? 2차 세계 대전 중 이 영화처럼, 우리 마음에 경종을 울리는 인문학의 역할이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모든 인간은 대륙의 한 조각, 대양의 일부이니,
흙 한 덩이가 바닷물에 씻겨 내려가면 유럽 땅은 그만큼 작아지고.
한 곶(串)이 씻겨 나가도 마찬가지고.
그대의 친구나 그대의 영토가 씻겨 나가도 마찬가지다.
어떤 사람의 죽음도 그만큼 나를 줄어들게 한다.
나는 인류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누구를 위하여 조종(弔鐘)이 울리는지 알려고 사람을 보내지 말라.
그것은 그대를 위하여 울리는 것이니.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책 읽는 저녁
『짐승과 인간 - 인간 본성의 근원에 대하여』 메리 미즐리
7월의 ‘책 읽는 저녁’에서는 메리 미즐리의 『짐승과 인간』 후반부를 함께 읽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인간과 동물의 본성을 비교하며, 인간이 단순한 생존 기계가 아닌 복잡한 욕망을 지닌 존재이며, 그 욕망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조율되고 확장된다는 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러한 욕망들이 어떻게 충돌하고, 우리는 어떤 가치와 기준으로 그것을 조정해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인간의 존엄이나 주체성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함께 찾아보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일시: 2025.7.16(수) 19:00~21:00
■ 도서: 『짐승과 인간(4~5부)』 메리 미즐리 (권루시안 옮김, 위고, 2025)
■ 진행: 전병근 지식 큐레이터
■ 장소: 온라인 ZOOM
■ 신청 마감: 7월 4일. 선착순 15명
* 참가자는 7월 13일까지 독후감(600자 이상)을 작성해 제출해야 합니다.
■ 문의 및 독후감 제출: jigwan@jigwanseoga.org
『정원의 위로』는 동아일보 기자이자 산림교육전문가인 김선미 기자가 식물과 정원에서 받은 깊은 위로의 경험을 담아낸 책입니다. 이번 북토크에서는 그녀가 오랜 시간 발로 찾아다닌 24곳의 정원 이야기를 들려주며, 정원이 단순한 쉼터를 넘어 문학과 예술, 자연과 과학이 만나는 통합의 공간임을 전합니다. 강연을 들으며 여러분만의 시크릿가든을 찾아보세요~
* 이 프로그램은 민음사와 함께합니다.
7월의 ‘낭독의 정원’에서는 박완서 작가의 산문집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를 함께 읽습니다. 참여자분들이 가장 낭독하고 싶은 작가로 박완서를 꼽아주셨는데요, 이번에 읽을 책은 그녀의 산문 660여 편 중에서 35편을 엄선한, ‘박완서 에세이의 정수’라 할 만한 작품집입니다. 소설가로 널리 알려진 박완서 작가, 이번 에세이를 통해 그녀의 삶과 내면을 함께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 진행: 황윤정 대표(책 읽는 도토리)
■ 장소: 온라인 ZOOM
* 같은 버전의 도서를 준비해주세요.
'지관서가, 지역을 읽다'는 지관서가가 위치한 지역의 문화와 공간환경을 함께 들여다보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입니다. 6월 30일에는 네 번째 이야기로 <평택 편- 다양성의 힘>, 7월 21일에는 <울산 편- 산업도시를 넘어 인본주의> 강연이 열립니다. 공간 기획자 박성진 대표와 함께 각 지역이 품은 공간의 얼굴과 이야기들을 만나보세요.
■ 일시: 2025.6.30(월), 7.21(월) 14:00~16:00
■ 연사: 박성진 대표(사이트앤페이지)
■ 장소: 도시상담 책방(서울 마포구 성미산로 87 101호)
■ 인원: 15명 현장 참여(무료) / 온라인 스트리밍(YouTube 지관서가 채널)
⏳ 지관서가 인문활동 《희망 TIME BOX》
작은 점검 – 다시 달릴 수 있는 시간
2025년의 절반이 지나갑니다. 새해 초 어떤 다짐을 하셨나요? 지관서가는 올해 초 ‘희망 TIME BOX’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현장 202명, 온라인 69명으로 총 270명이 참여했는데요, 여기에 1인 평균 5개의 다짐이 모여 1300개 이상의 결심이 담겼습니다. 가장 많았던 목표로는 운동, 다이어트 같은 건강 관리였고, 그다음으로 독서, 외국어 공부, 자격증 등 자기 계발이었습니다.
그 다짐들, 지금 어디쯤 와 있나요? 하반기를 앞둔 지금, 잠시 멈춰 지난 6개월의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요?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요. 지관서가가 여러분의 ‘다시 달리기’를 응원합니다. 아자아자!